<칼럼>양평군 권력이 군민에게 넘어가는 현장목격담
페이지 정보
본문

요즘 각 읍면별 발전계획 보고회가 잇따르고 있다. 예전과 달리, 지역민의 관심과 참여가 크게 높아졌다. 관주도의 계획수립에서 지역민 주도의 계획수립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말로만 ‘군민이 주인인 양평군’에서 정말 ‘군민이 주인인 양평군’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갔기 때문이다. 발전계획의 우수성이나 가능성을 떠나, 이러한 변화만으로도 2012년 읍면 발전계획 보고회는 그 어느 해보다 높은 점수를 줄 만하다.
각 읍면 발전계획의 핵심은 ‘마을만들기 사업’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을 우리의 지혜와 힘으로 더 좋은 마을로 만든다,는 기본취지는 ‘새마을 사업’과 많이 닮아 보인다. 두드러진 차이는, 초가집은 무조건 없애고 좁은 길은 무작정 넓히는 차원에서 초가집과 좁은 길의 아름다움과 장점을 살려 지역자산으로 삼는 차원으로 크게 발전했다는 점이다. 결정적인 차이는 관청의 역할변화이다. 누구네 아범 제 시간에 삽 들고 나왔는지 누구네 어멈 제 시간에 빗자루 들고 나왔는지 감시하는 역할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을 어떻게 해야 제대로 실행에 옮겨야할지 고민해야 하는 역할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아직도 이 변화의 흐름을 깨닫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공직자가 아주 없지는 않지만 말이다.
필자는 요즘 각 읍면 발전계획 보고회에 가능한 참석하고 있다. 예전처럼 하품 나는 소리로 일관되는 게 아니라, 지역주민의 육성이 힘차게 들려오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양평이 참 좋은 마을로 탈바꿈하는 미래가 손에 잡힐 듯 생생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관청의 권력이 자연스럽게 지역민에게 이양되는 현장을 놓치기 싫어서이다.
김선교 군수는 서종면 보고회장에서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정부고 경기도고 양평군이고 공무원이 주도한 사업치고 잘 된 거 본 적이 없다. 지역주민이 동참하지 않는 사업은 의미가 없다.”는 요지의 말을 참석언론인에게 보도자제를 전제하고 발언했다. 필자는 그러한 발언에서 양평군의 발전을 확실하게 체감했다. 무릇 모든 문제는 자신의 한계와 과오를 인정하는 데에서부터 해결점이 나타나는 법이 아니겠는가. 양평군의 수장이 양평군사업의 주체를 군민으로 확신하고 있다면 앞으로의 양평은 이제까지의 양평과는 확연히 달라지지 않겠는가. 부디 양평군수의 각성이 모든 양평군 공직자에게 전이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
안병욱 (ypnnews@naver.com)
- 이전글||-칼럼-|| 빛나는 배지를 달고 처음 거울 앞에 섰을 때처럼 12.09.24
- 다음글||-칼럼-|| 시장번영회와 롯데마트의 싸움, 심판은 지역주민이다. 12.08.26
![]() |
댓글목록
오호님의 댓글
오호 작성일“정부고 경기도고 양평군이고 공무원이 주도한 사업치고 잘 된 거 본 적이 없다. 지역주민이 동참하지 않는 사업은 의미가 없다.”
군수님 멋지십니다~!!^^
배미숙님의 댓글
배미숙 작성일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양평은 아직까지 도로 정비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마을은 많이 생기는데 도시까지 오는 전철을 마을에서 탈려면 1시간이상
돌고 돌아서 역가지 옵니다
전철을 따라 도로가 직진할수있는 도로가 만들어진다면 양평 주민들이
편리해질거라 생각이드네요
무분별한 광고 및 악성댓글을 차단하기위한 방침이오니 양해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