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아직은 장담할 수 없는 ‘두물머리의 평화’ > YPN칼럼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기사제보
YPN뉴스 2025년 04월 27일 (일)
YPN뉴스 칼럼 인터뷰 기업탐방 포토뉴스 사람&사람 독자광장

<칼럼> 아직은 장담할 수 없는 ‘두물머리의 평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2-08-20 06:31 댓글 0건

본문

일촉즉발로 치닫던 두물머리 사태가 극적으로 타결됐다. 천주교의 중재로 해당농업인과 국토해양부가 3년간의 치열한 대치를 끝내고, 하루아침에 어린 양이 되어 순순히 합의안에 서명했다. 두물머리를 발치에 두고 염려의 눈으로 지켜보던 양평군민 일동은 크게 안심이 되면서도 한편으론 물귀신에 홀린 기분이다. 엊그제까지 만해도 국토해양부의 유일한 방침은 ‘사업강행’이었으며, 두물머리 농민들은 높다란 망루를 세우지 않았는가 말이다. 또 하나, 합의안의 골격 즉 ‘생태학습장 조성’은 벌써 몇년전부터 양평에서 내놓았던 대안이 아니었는가 말이다. 같은 의견일지라도 지역사회의 공론일 때는 공염불에 지나지 않고, 종교계의 중재안일 때에는 초중량급의 힘이 실리는 오묘한 이치는 따져볼수록 오묘해 파고들수록 오리무중에 빠질 위험이 크다.

그래도 따져볼 건 좀 따져보자. 우선 두물머리가 국가적 주요이슈로 떠오른 배경부터 살펴보자. 중앙언론이며 시민단체며 정치권이 이토록 진득하니 양평에 집중된 건 유사 이래 처음이다. 두물머리 유기농지 존폐 여부만으로 이렇듯 무수한 시선과 입이 쏠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것보다는 훨씬 큰 상징성, 4대강 사업의 마침표가 두물머리 문턱에 걸려 있었기에 정치인을 비롯한 여러 유명무명 인사의 순례지가 되었으며 덩달아 언론의 표적이 되었다고 보는 게 타당할 터이다. 다시 말해, 2012년 두물머리는 4대강 사업의 찬반세력이 정면충돌하기 딱 좋은 위치에 놓여있는 것이다.

배경분석이 이쯤되면 이번 합의안의 숨은 원동력도 얼추 분석이 가능해진다. 친히 주교께서 나선 천주교의 건의도 묵살하기 어려웠겠지만, ‘용산참사’의 원죄를 지닌 정권에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4대강 사업 반경내 농민 상대 무력행사는 더더욱 어려웠을 터이다. 콕 집어 얘기하자면, 농민 상대 무력행사가 불러올 야권의 역공과 국민적 비난이 두려웠을 터이다. 이렇듯 두물머리 혹은 농민의 운명보다는 정권 혹은 정치적 타산이 뜬금없는 ‘두물머리의 평화’를 이룩해 낸 것이 아닐는지.

상황전개가 이렇듯 급박하다보니, 대단위사업의 기본수순인 지역여론 수렴할 짬이 어디 있나. 군청이고 지역주민이고 다 객꾼으로 밀어놓고 부랴부랴 알맹이는 없고 껍데기는 화려한 합의안 만들기도 바빴겠지. 생색날 일에 쏟는 정성만큼 뒤치다꺼리에도 정성을 쏟으면 좋으련만, 생색은 안 나고 일만 고달픈 후속조치는 죄다 양평군에 떠미는 걸로 매듭짓고 말아버렸다.

두물머리의 평화는 아직 불안하다. 농민측은 생태학습장내 유기농지 존속이 제1원칙이고 행정기관측은 절대불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관련예산규모나 조달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결정된 게 없다. 막연히 외국의 성공적 생태학습장의 닮은 꼴 정도의 계획 말고는 구체적인 조성 및 운영방안도 없다. 다만 중앙부처와 지자체, 지역민과 전문가 등을 아우르는 공동추진체제를 확약한 부분은 다행스러워 보인다. 양평군과 지역사회는 이번 합의안 도출에서 배제된 원인을 반성하는 동시에 ‘두물머리’의 주인답게 이번 합의안 추진의 주체로서의 의무와 권리에 주력할 각오를 단단히 다져야 할 것이다.

과정이야 어쨌든, ‘두물머리 생태학습장’ 을 결정적으로 이끌어낸 두물머리 최후의 환경농업인 4인에게 지역사회 전반의 정당한 감사와 예우가 뒤따라야 한다. 환경농업의 발상지이자 뭇생명의 터전을 지켜내려는 이들 농업인의 신념이 중앙정부의 횡포보다 굳건하지 못했다면 지금과 같은 수확을 거둘 수 있었겠는가. 자잘한 의견과 입장차이로, 본의 아니게 형성된 지역내 정서적 대립관계도 이참에 말끔히 털어버렸으면 싶다.

두 물줄기가 만나서 하나가 되는 두물머리를 대문 삼아 살면서 어찌 마음가짐이 둘로 나뉘는 꼴을 지켜보겠는가.   




     

안병욱 (ypnnews@naver.com)

댓글목록

무료 회원가입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무분별한 광고 및 악성댓글을 차단하기위한 방침이오니 양해부탁드립니다.



YPN뉴스   발행일 : 2025년 04월 27일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경기아00117   등록일자 : 2007년 07월 26일
476-800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군청앞길 5-1 우진빌딩 6층 전화 031) 771-2622 팩스 031) 771-2129
편집/발행인 : 안병욱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욱
본 사이트에 포함되는 모든 이메일에 대한 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됩니다.
Copyright 2005~2025 YPN뉴스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버전